|
네트웍 구성요소와 형태

1. 네트워크의 속도
1.1 직렬포트(Serial Port)
1.2 모뎀
-
모뎀속도 : 56Kbps (bps : bit per
second)
-
환경변수 : 클라이언트 모뎀속도, 서버 모뎀 속도, 선로의
상태
1.3 전용선
-
LAN(Local Area Network) : 10Mbps를 가장 많이 사용,
초당 1,250,000개의 문자전송
-
WAN(Wide Area Network) :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할때
주로 사용
-
FDDI(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)
-
고속의 네트워크와 전송 장애를 견뎌낼 수 있는 일종의
프로토콜
-
두 가닥의 광케이블로 구성
-
100Mbps, 200km의 전송선로의 길이를 가짐
-
노드간 최대 간격 2m
-
최대 연결 노드 갯수 1000개
-
랜과 랜 사이를 연결하는 백본(Backbone)서비스에
사용
표2.
전용선의 종류와 속도
전송속도 |
초당 문자 전송 |
적정 사용자수 |
1MByte전송시간 |
56Kbps |
7000cps |
30-50명 |
2분 30초 |
128Kbps |
16000cps |
50-100명 |
64초 |
256Kbps |
32000cps |
100-500명 |
32초 |
512Kbps |
64000cps |
500-1000명 |
16초 |
2. 네트워크의 형태
2.1 랜의 형태(Topology)
-
케이블의 연결 방법과 컴퓨터들과 네트워크 장비들과의 연결
방법
-
랜을 구성하는 세가지 방법 : BUS/TREE, STAR,
RING
2.1.1 BUS/TREE
-
모든 노드가 네트워크 관리에 참여하는 수동적 방송 방식(Passive
Broadcast System)
-
하나의 데이터 선에 모든 컴퓨터가 T자 형태로 연결되는
방식
-
Broadcast : 메시지가 모든 노드에 전달되는 방식, 메시지마다
주소부착, 수신 완료 메세지
-
랜카드와 BNC케이블만으로 네트워크 구축 가능
-
장점 : 케이블의 연결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비 저럼, 10대 미만시 가장
효과적인 랜 구성
-
단점 :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한 문제를 찾아내기 어려움, 케이블 길이 제한,
병목현상
-
TREE : 버스 구조의 변형으로, 하나의 노드에 두 개 이상의 노드가
연결되어 있는 형태
-
사무실 등에 구축이 용이하고, 동시에 확장성이 좋아 랜 분야에서 가장 많이
사용

2.1.2 STAR
-
모든 기기가 중앙의 연결점을 향해 Point to Point로 케이블이
연결되는 방식
-
중앙의 제어 노드를 향해 케이블이 집중
-
중앙제어노드는 대형 컴퓨터, 혹은 네트워크 장비로 네트워크의 모든 전권을 갖고
네트워크를 제어
-
컴퓨터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주소와 데이터를 중앙 제어 노드에 보내면
중앙 제어 노드는 해당 주소에 맞는 상대방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
-
장점 : 확장성 및 문제 발생시 원인 발견 용이, 중앙의 허브가 신호 증폭을
하므로 리피터 불필요.
-
단점 : 초기 투자 비용 과다, 케이블 비용 과다, 중앙점 문제 발생시
네트워크 전체 마비

2.1.3 RING
-
데이터의 전송이 한 방향이며, 각 기기에서 신호를 재생하여 다음 노드에
전달.
-
각각의 컴퓨터는 다른 두 대와 서로 연결
-
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비를 모두 검사하여 데이터
전송
-
장점 : 전자기파의 유도 및 잡음에 강함, 전송 속도 빠름, 분산제어와 점검
가능
-
단점 : 노드의 변경 및 추가 및 고장 수리가 어려움, 하나의 노드에서 문제
발생시, 전체 네트워크가 멈출 수 있음.

2.1.4 Daisy-Chain
-
Ring형태의 랜 구성과 비슷하나 한쪽의 노드가 다른 쪽과 연결되지
않음.
-
SCSI 방식의 연결과 동일
-
아주 단순하여 BUS형태의 네트워크보다 적은 케이블로 연결이
가능
-
하나의 노드에 문제가 생기면 네트워크가 두 개로 쪼개지는 단점이
있음.

2.2 랜의 데이터 전송 방식
-
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 기기 및 컴퓨터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
기능을 제공
-
모든 노드들이 자신의 전송 시간 동안 케이블을 감시하여, 자료 전송 중 다른
노드에서 신호를 보내어 충둘이 발생한다면 이를 감지하고 즉시 재전송 (CSMA/CD, Carrier Sense
Multiple with Collision Detection)
-
토큰링 네트워크의 관리기법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컴퓨터들이 선로를 사용하기
위해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설계되었지만, 이더넷은 각 노드가 통신을 원하면 무조건 허용하고 충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
고안됨.
-
이더넷의 특징
-
이데넷은 개발 과정에서 단순성, 경제성, 화환성, 주소 지정 융통선,
고속의 데이터 전송, 적은 지연시간, 안정성 등이 고려
-
물리적 계층의 특성
-
- 데이터 전송률 : 10Mbps
-
- 전송 매체 : UTP 케이블 또는
동축케이블
-
- 링크 제어 절차 : CSMA/CD
-
- 메시지 프로토콜 : 가변 프레임(variable size
frames)최대 전송 효율
-
2.2.2 토큰링(Token Ring)
-
Token Passing 기법을 사용하는 네트워크
-
완전한 분산 제어 방식으로 Token이라는 전기적 표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
사용을 결정
-
네트워크 상에는 오직 하나의 Token만이 존재하며, Token을 가진
노드만이 네트워크 사용 권한을 가지고 독점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함.
-
Token은 네트워크를 돌며 한 노드가 네트워크를 사용하려면 자신의 노드에 온
Token을 갖게 되면, 그 노드는 주어진 특정 시간 동안 네트워크를 사용할 권한을 갖게 되며 노드가
메시지를 보내거나 주어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Token을 다음 노드로 넘겨주게 됨
-
장점 : 네트워크 관리상의 시간을 허비하지 않음.
-
단점 : 노드의 수가 많아서 Token의 순회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네트워크의
속도가 저하 네트워크의 장비가 매우 지능적이어야 함. 주로 컴퓨터들이 노드로 사용됨.
2.3 ISDN
-
채널구조
- B channel : 정보 채널이라고 하며, 음성, 팩스, 데이터, 영상 등의
다양한 정보를 전송하는
채널 이
채널의 속도는 64Kbps - D channel : 통신 기기와 교환기 사이에서 통신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채널,
16Kbps - H0 channel : B채널과 같은 정보채널이나, B채널 6개를 결합하여 6486 = 384Kbps를
전송 - H1 channel : 화상정보 및 고속 데이터 전송용(1536Kbps)
네트워크 하드웨어
4.1 랜카드
- 데이터를 컴퓨터로부터 받아서 전송하고 또한 전송 받는 역할을
수행
4.1.1 랜 카드의 속도
-
기본단위 : bps(bit per second, 초당
125Kbyte)
-
주종속도 : 10Mbps, 100Mbps
-
실제속도 : 컴퓨터 내부의 입출력, CPU처리속도, 하드 디스크 콘트롤러와
하드 디스크, 랜 카드 사이의 입출력, 다른 랜카드와의 운영상의 충돌 등으로 이론적인 속도를 내지
못함.
4.1.2 랜 카드(NIC: Network Interface Card)의 기능
4.1.3 포트
4.2 케이블
- 네트워크를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은 사용목적, 거리 네트워크 장비에 따라
여러가지가 사용됨.
4.2.1 UTP(Unshielded Twisted Pair)케이블
-
10baseT, 100baseT(숫자는 네트워크 속도, T는 Twisted
Pair)
-
전화선과 비슷하게 생긴 8가닥의 가는 선
-
한 사무실 내부와 같이 가까운 거리를 허브를 통해 연결할때
사용
-
최대 유효 거리 100미터, 속도는 동축과 유사
-
선과 선을 꼬아서, 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
상쇄시킴
4.2.2 동축(Coaxial) 케이블
4.2.3 광케이블
-
FDDI 백본에 사용되며, 특별히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요구하는 곳에
사용
-
송신과 수신용이 별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두가닥이
사용
-
신호의 감쇠가 극히 적어, 먼 거리까지 진호 증폭없이 최대 4.3Km까지
전송가능
-
보안성이 뛰어나고 노이즈에 강함
표4.1 네트워크 케이블
케이블의 종류 |
속도 |
커넥터 |
케이블의 길이 |
10baseT |
10Mbps |
UTP(RJ-45) |
짧다 |
10base2 |
10Mbps |
BNC(RG-58) |
중간 |
10base5 |
10Mbps |
AUI(RG-62) |
길다 |
100baseT |
100Mbps |
UTP(RJ-45) |
짧다 |
100base2 |
100Mbps |
BNC(RG-58) |
중간 |
100base5 |
100Mbps |
AUI(RG-62) |
길다 |
4.3 허브
4.3.1 허브의 기능
-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Twisted Pair(UTP)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기
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
- 컴퓨터끼리의 네트워크 연결
- 근거리의 다른 네트워크(즉, 다른 허브)와 연결
-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
- 네트워크 상태 점검(모니터링 기능)
- 신호증폭 기능(트랜시버의 역할)
4.3.2 허브 사용의 장점 - 허브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용이해진다는
점.
-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
- 네트워크 에러를 검출 용이
- 병목 현상을 어느 정도 줄여줌
- 확장 용이
- 다른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 가능
- 신호 증폭
4.3.3 허브의 종류
■ 포트 수에 따른 구분
- 포트 수에 따라, 4포트, 8포트, 12포트, 16포트, 24포트 등
- 포트의 수는 RJ-45포트의 수를 이야기함. 이 외에 BNC포트를 하나 더 가지고 있음.
- RJ-45는 포트 하나당 한대의 컴퓨터, BNC는 최대 8대 까지 연결가능
- 8포트 허브일 경우, 최대 연결 가능 컴퓨터 갯수는 16대
■ 기능에 따른 구분
- 일반 허브(Dummy Hub)
- 단순 중계기의 역할
- 10Mbps 네트워크일 경우, 모든 포트가 공유하여 사용하므로, 동시 사용자가 많으면 네트워크
속도가 전체적으로 떨어짐.
- 스위칭 허브(Switching Hub)
- 10Mbps네트워크일 경우, 각각의 포트마다 10Mbps의 속도를 할당
- 사용자가 증가하더라도 데이터의 충돌이 없으므로, 네트워크 속도를 최대로 이용가능
- 화상통신과 대용량 DB를 빈번하게 액세스 할때, 인터넷 서버에 연결할때 사용
4.4 리피터
4.5 라우터와 브라우터
■ 라우터
- 라우터는 다른 기종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하는 네트워크 장비
- 알 수 없는 네트워크 OS와 프로토콜 등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
- 여러가지 프로토콜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함.
-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보낼 때 데이터를 잘 쪼개어 알맞은 크기의 패킷을
라우터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(Routing Table)에 의해 최적의 경로로 최종 목적지까지 도달하도록 하는 기능
- 라우터는 일종의 컴퓨터이나 일반 UNIX명령과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음.
- 인터넷을 전용선을 통해 사용하고 있다면 라우터가 반드시 필요.
■ 브라우터
-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브리지와 라우터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장비
-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선 라우터가 반드시 필요하고, 내부 네트워크를 분리하는데에는 브리지가
필요함.
- 학교,회사,공장과 같이 몇 개의 건물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할 경우에는 백본을 사용하게 되는데,
내부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때 서브 네트워크에서는 중앙의 서버와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서 브라우터를
사용
4.6 브리지
-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
- 연결될 네트워크가 어떻게 구성되고, 어떤 OS를 사용하여 어떤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는
지를 알고 있는 경우에 사용
- 네트워크속에서 접속 대상 컴퓨터를 빠르게 찾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칙으로 네트워크가 분할되어
있어야 함
- 실제 브리지는 백본망이 구축된 상태에서 주로 사용
- 작게 쪼개진 네트워크 그룹들은 브리지나 라우터 혹은 브라우터를 통해 백본망에 접속하게 되어 다른
네트워크 그룹과 통신하게 됨.
4.7 DSU(Digital Service Unit)
- 전용선로를 타고 오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모뎀
- 전용선을 통해 전달되는 쌍극(Bipolar) 펄스 신호를 컴퓨터에서 사용되는
단극(Unipolar) 펄스신호로 바꾸어주는 역할
- DSU는 전용선과 서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필수적 장비
4.8 트랜시버
- AUI 포트에 꽂는 네트워크 장비로 BNC 혹은 RJ-45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
- 워크스테이션이나 매킨토시 등의 컴퓨터에서는 AUI포트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트랜시버가 필요
-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기 보다 동축 케이블을 백본망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서브
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.

|